![]() |
1열 | 시접, 잔반(술잔, 받침대)을 놓고 떡국을 올림 |
---|---|---|
2열 |
어동육서: 생선은 동쪽, 고기는 서쪽 두동미서: 생선의 머리는 동쪽,꼬리는 서쪽 |
|
3열 | 생선·두부·고기탕 등의 탕류를 놓음 | |
4열 | 좌포우혜: 좌측 끝에는 포, 우측 끝에는 식혜 | |
5열 | 조율이시: 왼쪽부터 대추, 밤, 배, 곶감 순으로 놓음 또는 홍동백서: 붉은 과일은 동쪽,흰 과일은 서쪽 |
|
※ 차례상 준비시 유의점
|
대문을 열어 놓습니다. 젯상의 뒷쪽(북쪽)에 병풍을 치고, 젯상 위에 제수를 진설합니다. 지방(紙榜)을 써 붙이고 제사 준비를 마칩니다. 고례(古禮)에는 '출주(出主)'라 하여 사당에서 신주(神主)를 모셔 내오는 의식이 있었으나, 신주 대신 지방을 쓰는 요즘 이 절차는 생략됩니다.
영혼의 강림을 청하는 의식으로써 제주(祭主)가 신위 앞으로 나아가 무릎을 꿇고 앉아 향로에 향을 피웁니다. 집사(執事)가 젯상에서 잔을 들어 제주에게 건네주고 잔에 술을 조금 따릅니다. 제주는 두 손으로 술잔을 들고 향불 위에서 세 번 돌린 다음, 모사그릇에 조금씩 세 번 따릅니다. 빈잔을 집사에게 다시 건네주고 일어나서 두 번 절 합니다. 향을 피우는 것은 하늘에 계신 신에게 알리기 위함이고, 모사그릇에 술을 따르는 것은 땅아래 계신 신에게 알리기 위함입니다.
고인의 신위에 인사하는 절차로서 모든 참사자가 일제히 두번 절 합니다. 미리 제찬을 진설하지 않고 참신 뒤에 진찬(進饌)이라 하여 제찬을 올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진찬때는 주인이 육(肉), 어(魚), 갱(羹)을 올리고 주부가 면(麵), 편(餠), 메(飯)를 올립니다.
제주가 첫번째 술잔을 올리는 의식입니다. 제주가 신위 앞으로 나아가 꿇어 앉아 분향합니다. 집사가 잔을 제주에게 주고 술을 가득 부어주면, 제주는 오른손으로 잔을 들어 향불 위에 세 번 돌리고 모사그릇에 조금씩 세 번 부은 다음 두 손으로 받들어 집사에게 줍니다. 집사는 그것을 받아서 밥그릇과 국그릇 사이의 앞쪽에 놓으며, 이어 제주는 두 번 절 합니다. 합설(合設)인 경우 잔은 고위(考位-아버님 자리)앞에 먼저 올리고 다음에 비위(어머님 자리) 앞에 올립니다. 집안에 따라서는 술을 올린 뒤 밥그릇의 뚜껑을 여는 경우도 있습니다.
초헌이 끝나고 참사자가 모두 꿇어 앉으면 독축자가 옆에 앉아서 축문을 낭독합니다. 축문은 제주가 읽어도 되는데, 엄숙한 목소리로 또박또박 천천히 읽으시면 됩니다. 축문읽기가 끝나면 모두 일어나 두 번 절합니다. 과거에는 독축 뒤에 곡을 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두번째 술잔을 올리는 의식으로 원래는 주부가 아헌을 드렸습니다. 주부가 올리기 어려운 경우에는 제주의 다음 가는 근친자가 올리시면 됩니다. 절차는 초헌 때와 같으나 모사에 술을 따르지 않아도 됩니다.
세번째(마지막) 술잔을 올리는 의식이다. 아헌자의 다음 가는 근친자가 아헌 때와 같이 합니다. 잔은 7부쯤 부어서 올리시면 됩니다.
종헌이 끝나고 조금 있다가 제주가 다시 신위 앞으로 나아가 꿇어 앉으면 집사는 술 주전자를 들어 종헌 때 7부쯤 따라 올렸던 술잔에 세번 첨작하여 술잔을 가득 채웁니다.
첨작이 끝나면 주부가 밥그릇의 뚜껑을 열고 숟가락을 밥그릇의 중앙에 꽂습니다. 젓가락을 고른뒤 어적이나 육적 위에 가지런히 옮겨 놓습니다. 숟가락은 바닥(안쪽)이 동쪽으로 가게 합니다. 삽시정저가 끝나면 제주는 두번, 주부는 네번 절 합니다. ◈ 유식(侑食) : 첨작과 삽시정저의 두 절차를 통틀어 유식이라 하는데 이는 진지를 권하는 의식입니다.
참사자가 모두 잠시 밖으로 나가 문을 닫고 잠시 기다립니다. 대청마루에 제상을 차렸으면 뜰 아래로 내려가 읍(揖)한 자세로 잠시 기다리면 됩니다. 단칸방의 경우에는 제자리에 엎드려 잠시 동안 있다가 일어섭니다.
닫았던 문을 여는 절차입니다. 축관이 헛기침을 세 번하고 문을 열고 들어가면 참사자가 모두 뒤따라 들어갑니다.
탕국을 내리고 숭늉을 올린뒤 밥 세술을 떠서 물에 말아 놓고 저를 가지런히 합니다. 이때 참사자는 모두 머리를 숙이고 잠시동안 조용히 앉아 있다가 고개를 듭니다.
숭늉 그릇에 놓인 수저를 거두어 제자리에 놓고 밥 그릇의 뚜껑을 덮습니다.
고인의 영혼을 전송하는 절차로서, 참사자 모두 신위 앞에 일제히 두번 절한 뒤, 지방과 축문을 불 사릅니다. 지방은 축관이 모셔 내옵니다. 신주일 때는 사당으로 모십니다. 이로써 제사를 올리는 의식절차는 모두 끝나게 됩니다.
제상 위의 모든 제수를 집사가 뒤쪽에서부터 차례로 물려 거두어 들입니다.
참사자가 한자리에 앉아 제수를 나누어 먹는데 이를 음복이라 합니다. 고례에는 '준'이라 하여 참사자 뿐만 아니라 가까운 이웃들에게 제사음식을 나누어 주고 이웃 어른들을 모셔다가 대접하기도 했습니다.
제상 위에 흰 종이를 깔고 제수를 진설한 뒤, 지방을 써서 붙입니다. 제주가 분향하고, 모사그릇에 술을 부 은 뒤 제주와 참사자가 일제히 신위 앞에 두 번 절 합니다.
고인에게 첫 번째 술잔을 올리는 절차입니다. 술잔을 채워 두 손으로 받들고 밥그릇과 국그릇 사이 앞쪽에 놓고 두번 절 합니다.
초헌이 끝나면 제주는 축문을 읽고 두 번 절 합니다. 축문을 읽는 동안 다른 참사자들은 모두 꿇어 앉아 머리를 약간 숙이고 경건한 마음으로 경청합니다.
축문 읽기가 끝나면 주부가 두번째 술잔을 올리고 두번 절 합니다.
제주의 근친자가 세번째 술잔을 올리고 두 번 절 합니다.
제수를 많이 드시라고 비는 의미로 숟가락을 밥에 꽂고 모든 참사자가 고개를 숙여 묵념합니다.
숭늉(혹은 냉수)을 국과 바꾸어 놓고, 수저로 밥을 조금씩 세번 떠서 물에 만 다음 수저를 물그릇에 가지런히 놓습니다.
제사절차가 마쳐져서 신위를 보내드리는 절차입니다. 참사자 일동이 일제히 신위 앞에 큰 절을 올리는데, 이는 안녕히 가시라는 작별의 인사를 드리는 것 입니다.
지방을 거두어 축문과 함께 불사르고, 상을 물려 정리합니다.
참사자들이 제사 음식을 나누어 먹습니다. 음복을 함으로써 조상님들의 복을 받는다는 속신(俗信)이 있습니다.
서울 상차림: 서울상은 명절상의 표준이라고 할 수 있겠다. 서울상의 특징은 다른 지역 전통상에 비해 간소하세 차려진다는 것. 또 하나의 큰 특징은 닭고기가 올라가지 않고 녹두전이 올라간다는 것이다. 과일 및 과자로는 대추와 간밤, 단감이나 곶감, 배, 사과, 산자와 약과등이 올라가며 나물류로는 고사리, 도라지, 시금치 나물등이 올라간다. 탕 류로는 탕 국과 소탕, 어 탕, 육탕의 3탕이 올라가며 백 김치와 식혜, 식혜밥이 올려진다. 전류로는 동태전, 육원전, 녹구정,두부전,꼬지전과 버섯전과 쇠고기 산적이 올려진다. 생선으로는 조기찜과 북어포만 올라가며 떡은 제사용 떡이 사용된다.
경기도 상차림: 경기지역에서는 경기지역에서 흔히 구할 수 있으면서 귀하게 쓰이는 고기가 많이 올라간다. 그렇게 때문에 기본적인 상차림에서 고기산적의 양이 많이 올라가며 이와 더불어 떡도 많은 양이 올라간다. 과일 및 과자는 대추, 친밤, 단감, 배, 사과, 산자, 약과 등이 올라가며 나물류로는 고사리와 도라지, 시금치가 올라간다. 탕류로는 탕 국과 소탕, 어 탕, 육탕의 3탕이 들어가며 백김치와 식혜, 식혜 밥이 올라간다. 전류로는 동태전, 육원전, 녹두전, 두부전, 꼬치전, 호박전, 버섯전이 올라가고 적류로는 소고기 간적와 계적이 올려 진다. 생선류로는 조기찜과 함께 북어적과 북어포를 올리고 송편과 계피 고물떡이 그리고 기타 제사상에 오르는 떡들이 올려진다.
강원도 상차림: 영남지역 명절 상에는 일반과 같고, 상차림에는 소고기산적 다른 지방에서는 보기 힘든 돔배기산적(상어고기)과 문어 등 다양한 어물이 많이 올라가는 것이 특징이다. 또 전들도 특색 있게 부추전, 파전, 미나리전, 배추전, 감자전, 두부전 동태전 등이 올라가고 떡과 산적이 많이 올라간다. 과일 및 과자로는 대추, 친밤, 단감이나 곶감, 배, 사과, 산자, 약과 등이 올라가며 나물류로는 고사리, 도라지, 시금치, 콩나물이 올려 진다. 영남지역 명절상은 탕류가 다른 지역보다 많이 올라간다는 것이 특징인데 탕국과 소탕, 어 탕, 어 탕, 육탕, 계탕 이렇게 5탕이 올라간다. 전류로는 동태전, 육원전, 꼬치전, 두부전, 배추전이, 적류로는 고기산적이 올라간다. 생선으로는 조기찜과 돔배기, 피문어, 가오리, 대구포, 북어포, 오징어포 등 다양하게 올라가며 송편과 함께 제사용 떡이 올라간다.
충청도 상차림: 충청도의 제사상에는 메, 면, 탕 산적, 어적, 향누름적, 포, 제주, 식혜, 과일, 나물 등입니다. 과일 및 과자로는 대추, 친밤, 단감이나 곶감, 배, 사과, 산자, 약과 등이 올라가며 나물류로는 고사리, 도라지, 시금치, 콩나물이 올려 진다. 특이한 것은 바로 향누름적이다. 도라지, 파, 고비 고기를 길게 잘라서, 양념한 다음에 볶아 꼬치에 끼고 알지단채로 장식한 것을 말한다. 충청도는 지역 특성상, 한반도와 같이 삼면이 육지이고, 바다와 맞닿아 있는데요. 또한 전라도와 경상도에 접한 지역이 공통된 만큼, 각 지역에 가까운 지역은 전라도와 경상도의 제사음식을 많이 따라가기도 한다.
전라도 상차림: 호남지방은 산이 깊고 들이 넓으며 가까운 곳에 바다가 있어서 물산이 풍부하다. 이런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여 명절상에는 수십 가지의 다양한 산해진미가 가득 오른다. 이 지역 명절상에서 가장 큰 특징은 홍어를 비롯하여 병어, 낚지 등과 같은 푸짐한 어물과 이것을 이용한 부침전이 오른다는 것이다. 이러한 어물은 전라도지역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제수품목 중에 하나이다. 과일 및 과자로는 대추, 깐 밤, 단감, 배, 사과, 산자와 약과를 많이 올렸다. 중앙에 들어가는 나물로는 고사리, 도라지, 시금치로 차려진다. 탕 국은 소탕, 어 탕, 육탕 이렇게 3탕이 올려지며 백 김치와 식혜, 식혜 밥도 올라간다. 전류로는 동태전, 육원전, 녹두전, 두부전, 꼬치전, 파전, 적으로는 홍어적과 쇠고기 산적이 올려진다. 생선으로는 조기찜과 북어포 등이 올라가며 송편을 비롯해서 제사 急와 동일한 떡들이 올라간다.
제주도 상차림: 제주도의 특이사항으로 치자면 바로 옥돔이다. 옥돔적을 올리기도 하고, 옥돔을 올리기도 한다. 그리고 육지에서 흔한 밤과 대추는 제주도에는 그다지 없어서 거의 올리지를 않는다고 한다. 하나 요즘은 교통수단의 원할 하여 육지와 같이 공통으로 많이 올린다. 또 전들도 특색 있게 부추전, 파전, 미나리전, 배추전, 감자전, 두부전 동태전 등이 올라가고 떡과 산적이 많이 올라간다. 과일 및 과자로는 대추, 친밤, 단감이나 곶감, 배, 사과, 산자, 약과 등이 올라가며 나물류로는 고사리, 도라지, 시금치, 콩나물이 올려 진다. 제주도의 경우, 육지의 종교 의례음식과 크게 다르지 않은데.18세기 이후에 종교, 의례음식이 육지화 되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제사음식은 돼지고기, 옥돔, 닭고기, 묵등이다. 골감주와 좁쌀청주로 제수상에 올린다. 요즘에는 시판하는 소주로 대신하는 집도 많이들 올린다.
반(飯).메 | 밥을 말한다. 식기에 신위수대로 수북히 담고 뚜껑을 덮는다. |
---|---|
갱(羹) | 국. 쇠고기와 무를 네모로 납작하게 썰어 끓인 국. |
숙수(熟水) | 숭늉이다. 냉수나 더운물을 그릇에 담는다. |
면(麵) | 국수. 삶아 건더기만 건져 담아 올렸으나, 요즈음에는 거의 생략하고 있다. |
편 | 떡. 현란한 색깔의 떡은 피한다. 대개 시루떡을 정사각형의 접시에 괸다. |
편청 | 꿀이나 조청 또는 설탕을 작은 접시에 담는다. |
탕(湯) | 찌개를 말한다. 탕은 홀수, 그릇 수를 쓰는데 대개 3탕을 쓰고 5탕을 쓰기도 하며 근래에는 함께 끓여서 1탕을 하기도 한다.
- 3탕 : 육탕(쇠고기). 어탕(생선을). 소탕(채소와 두부) |
전(煎) | 부침개. 육전과 어전 2가지를 쓰며 육회와 어회를 보태 4가지를 쓰기도 한다.
- 육전(肉煎) : 고기를 다져서 두부와 섞어 동그랗게 만들고 계란 노른자를 묻혀서 기름에 부친다. - 어전(魚煎) : 생선을 납작하게 저며서 계란 노른자를 묻혀서 기름에 부친다. |
적(炙) | 구이. 제사음식 중 중심이 되는 특별 식으로 예전에는 3가지를 마련해 술을 올릴 때마다 바꾸어 올렸으나 근래에는 처음에 함께 올린다.
- 육적(肉炙) : 쇠고기를 대꼬치에 꿰어 굽기도 하나 일반적으로 쇠고기를 손바닥 너비로 30cm 정도의 길이로 토막내어 칼집을 내고 소금이나 간장만으로 양념해 익힌다. - 어적(魚炙) : 생선을 입과 꼬리끝을 잘라내고 칼집을 내어 소금간장으로 양념해 익힌다. 접시에 담을때 머리가 동쪽으로 배가 신위 쪽으로 가게 담는다. - 계적(鷄炙) : 닭구이. 털을 뽑고 머리와 두발을 잘라낸 다음 익힌다. |
숙채(熟菜) | 익힌 나물. 대개 고사리, 도라지, 배추나물 등 3가지를 한 접시에 담거나 각각 따로 담는다. |
침채(沈菜) | 물김치. 고춧가루를 쓰지 않고 희게 담근 나막김치.
- 경상도 지방에서는 쓰지 않는 집이 많다. |
청장(淸醬) | 맑은 간장 |
과일류 | 전통적으로 대추, 밤, 감(홍시 또는 곶감), 배 였으나 이것들은 꼭 준비하고 그 밖에 계절에 따라 나는 사과, 수박, 참외, 석류 등의 과일을 차려도 좋다. |
포(脯) | 고기를 말린 육포나 생선의 껍질을 벗겨 말린 것.
보통 북어포를 많이 사용한다.
- 경상도 지방에서는 예로부터 제상에 북어포 외에 대구포, 건 문어, 건 가오리, 건 낙지 등 건어물에 중점을 두어 제수를 준비하였다. |
※ 각 지방이나 가정의 전통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대추의 특징은 한 나무에 열매가 헤아릴 수 없을 만큼 열리며 꽃 하나가 피면 반드시 열매 하나가 열리고 나서 꽃이 떨어진다. 헛꽃은 절대 없다. 즉, 사람으로 태어났으면 반드시 자식을 낳고서 죽어야 한다는 뜻이다. 그래서 제사상에 대추가 첫 번째 자리에 놓인다. 자손의 번창을 기원하는 뜻에서이다.
다른 식물의 경우 나무를 길러낸 첫 씨앗은 땅속에서 썩어 없어져 버리지만, 밤은 땅 속의 씨밤이 생밤인 채로 뿌리에 달려 있다가, 나무가 자라서 씨앗을 맺어야만 씨밤이 썩는다. 그래서 밤은 자기와 조상의 영원한 연결을 상징한다. 자손이 수십 수백 대를 내려가도 조상은 언제나 자기와 연결되어 함께 이어간다는 뜻이다. 신주를 밤나무로 깍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콩 심은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나는 것이 천지의 이치이다. 그러나 감만은 그렇지 않다. 감 씨앗은 심은 데서 감나무가 나지 않고 대신 고욤나무가 나는 것이다. 그래서 3~5년쯤 지났을 때 기존의 감나무 가지를 잘라 이 고욤나무에 접을 붙여야 그 다음 해부터 감이 열린다. 이 감나무가 상징하는 것은 사람으로 태어났다고 다 사람이 아니라 가르치고 배워야 비로소 사람이 된다는 뜻이다. 가르침을 받고 배우는 데는 생가지를 칼로 째서 접붙일 때처럼 아픔이 따른다. 그 아품을 격으며 선인의 예지를 이어 받을 때 비로소 하나의 인격체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기제는 기일제사(忌日祭祀)의 약칭으로 기일 즉,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를 이르는데, 오늘날 제사라면 통상 기제를 말합니다. 기제사의 봉사대상은 과거에는 [주자가례]에 따라 4대조까지였으나 근래 '가정의례준칙'에서는 2대 봉사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제사시간은, 과거에는 고인이 돌아가신 날 자정부터 새벽 1시 사이 모두가 잠든 조용한 시간에 지냈었으나, 요즘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그 날 해가진 뒤 어두워지면 아무때나 적당한 시간에 지내시면 됩니다. 제사는 제주의 집에서 지내는데, 고인의 장자나 장손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하게 됩니다. 제사에 참석하는 사람은 고인의 직계자손으로 하며 이외 가까운 친척도 참석할 수 있습니다.
시제는 원래 사시제라고 부르던 것으로, 1년에 네 번, 즉 춘하추동의 계절마다 고조 이하 윗대 조상께 함께 제사지내던 합동제사의 하나였습니다. 과거에는 제사는 곧 시제를 말한다고 할 정도로 모든 제사의 으뜸이었으며, 조선시대 이후에는 개별 가정을 중심으로 기제사가 중시되어 간 반면, 시제는 수많은 씨족문중을 중심으로 전승, 발전되어 문중제사로서 자리를 잡아가게 됩니다. 또한 일년에 행하는 제사의 횟수가 많아지면서 현재는 보통 1년에 한번(보통 음력 10월이나 음력 3월)만 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시제는 문중의 모든 종원이 참여하여 문중의 사당이나 재실에서 지내거나 혹은 묘소에서 묘제로도 지내며, 일반적인 제수에 비해 훨씬 많은 정성이 들어가고 규모도 커서 가히 우리 제례문화의 백미라고 할 만한 점들이 여기에 잘 보존되어 있습니다.
차례는 간소한 약식제사로서 음력 매월 초하룻날과 보름날, 그리고 명절이나 조상의 생신 날에 지내며 보통 아침이나 낮에 지냅니다. [가례]를 비롯한 예서에는 차례라는 것은 없으나, 우리 나라에서 관습적으로 민속명절에 조상에게 올리는 제사를 차례라고 합니다. 차례는 기제사를 지내는 모든 조상에게 지냅니다. 예를 들어 고조부모까지 4대를 봉사하는 가정에서는 고조부모, 증조부모, 조부모, 그리고 돌아 가신 부모 등 여덟 분의 조상이 차례의 대상이 되는 것 입니다. 차례는 명절날 아침에 각 가정에서 조상의 신주나 지방 또는 사진을 모시고 지냅니다. 차례도 물론 기제를 지내는 장손의 집에서 지내는 것이 원칙이지만, 지방이나 가문의 전통에 따라 한식이나 추석에는 산소에서 지내기도 합니다.
묘제는 산소에 찾아가서 드리는 제사입니다. 제찬은 기제와 마찬가지로 준비하고, 본 제사를 드리기 전 토지신에게도 따로 제수를 마련하여 제사를 지냅니다.(이를 '산신제'라 하지요.) 고례에 의하면 제주를 비롯한 여러 참사자들이 검은 갓과 흰옷을 갖추고, 일찍 산소에 찾아가 제배하고, 산소를 둘러보면서 세 번 이상 잘 살피며 풀이 있으면 벌초하고 산소 앞을 깨끗하게 쓸고 난 후 산소의 앞쪽에 자리를 마련합니다. 토지신에게 먼저 제사를 지낸 뒤, 산소 앞에 정한 자리를 깔고 제찬을 진설합니다. 묘제는 그 장소가 산소이므로 그 진행 절차도 집안에서 지내는 제사와 차이가 있습니다.
상호: 차림
대표: 고재효
주소: 서울시 양천구 남부순환로 390, 2층(신월동)
사업자 등록번호: 307-15-19379 사업자등록번호
전화번호: 1666-5383 (고객센터 업무마비로 인해 광고 전화는 일체 받지 않습니다.)
E-mail: ko121520@naver.com
개인정보관리책임자: 고재효 (ko121520@naver.com)
통신판매업신고: 제 2019-서울양천-1337 호
Copyrightⓒ 2014 바른제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