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MBC 뉴스보도, 대장금협찬의 다례원 무형문화재11-1호 직접제작 대가제사 식품제조허가업체 영남잔치상 옻칠제기세트 종갓집제사 전국 안전한 배달 가례원
바른제사 전국배송안내
닫기

추석·설날 상식.

명절차례

차례(茶禮) 는 간소한 약식 제사이다. [가례]를 비롯한 예서에는 차례라는 것이 없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관습적으로 민속명절에 조상에게 올리는 제사를 차례라고 한다. 또 우리의 차례에서는 술을 올리고 차는 쓰지 않는데, 차례라는 이름은 중국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오늘날의 차례는 사당 제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듯하다." [가례]에 의하면 조상의 신주를 모신 사당에서는 정월 초하루, 동지, 매월 초하루와 보름에 참배하는 제사가 있다. 이들 중에서 매월 보름에는 술잔을 차리지 않고 찻잔만 올리게 되어 있다. 제사 중에서 가장 간략한 이 보름의 사당 참배에서 '차(茶)를 올리는 예(禮)'라 하여 茶禮가 유래된 것으로 짐작된다 결국 사당에 올리던 차례는 설, 동지, 매월 초하루와 보름, 그리고 각종 명절에 지내던 것을 합하면 1년에 무려 30여 회에 이른다. 근래에는 사당이 사라지게 되어 이 차례가바로 명절의 제사로 남게 된 것이다. 명절의 차례도 옛날과는 달리 설과 추석 두 번만 남게 되었다. 따라서 오늘날 우리가 지내고 있는 차례는 사당예법의 유습이 정착된 것이라고 하겠다. 차례는 명절날 아침에 각 가정에서 조상의 신주나 지방 또는 사진을 모시고 기제사를 지내는 조상에게 지낸다. 차례도 물론 기제사를 지내는 장자손의 집에서 지내는 것이 원칙이지만 지방이나 가문의 전통에 따라 한식이나 추석에는 산소에서 지내기도 한다

기제사와 차례의 차이점

기제는 조상이 돌아가신 날에 지내고 차례는 명절에 지낸다.
기제는 밤에 지내고 차례는 낮에 지낸다.
기제는 그날 돌아가신 조상과 배우자만 지내고, 차례는 자기가 기제를 받드는 모든 조상에게 지낸다.

기제는 장손의 집에서 지내고 차례는 사당이나 묘소에서 지낸다. (요즘은 차례도 대부분 집에서 지낸다.)
  기제는 메(밥)와 갱(탕국)을 올리나 차례는 설에는 떡국을, 한가위에는 송편을 올린다.
기제는 술을 세 번 올리지만 차례는 한번만 올린다.(단작)
기제는 첨작을 하지만 차례는 첨작을 하지 않는다.

기제는 합문과 계문을 하지만 차례는 하지 않는다.
기제는 숭늉을 올리지만 차례는 하지 않는다.
기제는 반드시 축문을 읽지만 차례는 읽지 않는다.

차례진행순서

1. 재계(齋戒)

하루 전부터 집안밖을 청소하고 목욕재계하여 차례를 위한 마음의 준비를 한다

2. 제상과 제구 준비

차례를 드릴 장소를 정하고, 미리 여러 제구를 깨끗이 닦아 준비한다

3. 제수(祭需) 준비

주부 이하 모든 가족 구성원이 제수를 준비한다.

4. 제복입고 정렬하기

명절날 아침 일찍 일어나 제복을 입고, 제상 앞에 남자들은 오른편(東)에 여자들은 왼편(西)에, 제주와 주부는 앞에 대체로 연장자 순서대로 선다

5. 제상 차리기

먼저 식어도 상관없는 제수를 차린다.

6. 신위봉안

고조부모 이하 부모까지(물론 2대조, 3대조 등 가정에 따라 다름) 순서대로 신주나 지방을 모신다. 산소에서는 이 절차가 없다

7. 강신(降神)

제주가 읍하고 꿇어앉아 향을 세 번 사르고 강신의 예를 행한다.

8. 참신(參神)

제주 이하 모든 참사자들은 일제히 두 번 절하며 인사드린다.

9. 진찬(進饌 : 메, 국 올리기)

윗대 조상의 신위부터 차례로 올린다.

10. 헌작(獻酌)

제주가 고조부 이하 차례로 술을 가득 올린다. 주부는 차례로 숟가락을 떡국에 걸치고 젓가락을 골라 시접에 걸쳐 놓는다.

11. 유식(侑食)

제주가 각 신위의 잔에 첨작을 한 후 참례자 일동이 7~8분간 조용히 부복하거나 양편으로 비껴 시립(侍立)해 있는다.

12. 철시복반(撤匙覆飯)

숭늉 그릇의 숟가락을 거두어 세 번 고른 다음 제자리에 놓는다. 메 그릇의 뚜껑을 덮는다.

13. 사신(辭神)

신위를 전송하는 절차이다. 참사자 전원은 재배한다.

14. 음복(飮福)

참사자 전원이 음식을 나누어 먹는다. 음복을 하면 조상들의 복을 받는다는 속신(俗信)이 있다.
친절한 고객센터 1666-5383

상호: 차림 대표: 고재효 주소: 서울시 양천구 남부순환로 390, 2층(신월동) 사업자 등록번호: 307-15-19379 사업자등록번호
전화번호: 1666-5383 (고객센터 업무마비로 인해 광고 전화는 일체 받지 않습니다.) E-mail: ko121520@naver.com 개인정보관리책임자: 고재효 (ko121520@naver.com)
통신판매업신고: 제 2019-서울양천-1337 호 Copyrightⓒ 2014 바른제사. All rights Reserved.

kb에스크로
모바일 화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