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MBC 뉴스보도, 대장금협찬의 다례원 무형문화재11-1호 직접제작 대가제사 식품제조허가업체 영남잔치상 옻칠제기세트 종갓집제사 전국 안전한 배달 가례원
바른제사 전국배송안내
닫기

상·중제례의 상식.

현대사회와 상/장례문화

사람이 임종을 맞이하면, 그 가족은 물론 그가 속한 마을과 지역공동체의 구성원이 함께 애도하면서 장례의식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예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우리의 장례문화이다. 이러한 전통 장례문화는 현대사회에 들어서 많은 변화를 겪게 되는데, 3년상을 치루던 전통장례의식은 생활에 무리를 주지 않는 선에서 기간이 단축되었고, 장례의식을 치루는 장소도 병원이나 장례식장을 이용하게 되고, 장례절차를 대신 맡아 진행하는 상조회사도 생겨나게 되었다. 또한 예전에는 고향 근처 선산에 고인을 모시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지금은 많은 사람들이 고인을 산소에 매장하는 대신 화장하여 납골당에 모시거나 혹은 수목장, 산골하는 경우도 생겨나고 있다. 상·장례절차 역시 변화되어, 현재는 3일장이 일반화된 상태인데, 이에 3일장을 치르는 경우를 기준으로 상·장례절차를 알아본다.

첫째날

▶ 임종(臨終)

임종은 운명할 때 곁에서 지켜보는 것이다. 평소에 보고 싶어하던 사람이나 가족을 모이도록 한다. 말을 할 수 있을 경우에는 하고 싶은 말씀(유언)을 하도록 하고, 중요한 경우 적거나 녹음 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 종교가 있는 경우 각 종교에 따라 성직자를 모시거나 경전이나 성가를 준비하여 환자가 편안하게 임종할 수 있도록 한다.

▶ 수시(收屍)

"수시란 시신을 바르게 한다는 뜻으로, 시신이 굳어지기 전에 수족(手足)을 골고루 주물러 굽힘 없이 바르게 펴고 묶어 주는 절차를 말한다. 환자가 무릎이나 다른 부위가 굽어진 상태로 운명하였을 경우 수의를 입히거나 입관 시킬 때 어려움을 겪게 되므로 임종 후 바로 반듯하게 해 주어야 한다. 이미 굳어져 잘 펴지지 않으면 더운 물이나 따뜻한 수건으로 주물러 잘 펴지도록 하여 반듯하게 한 다음 정갈한 옷(수시복,수세복)으로 갈아 입힌다. 수시복은 이 때를 대비해 평소에 준비해 놓은 옷이나 고인이 입던 옷 중에서 깨끗하고 편안한 옷을 이용해도 좋으며, 운명시의 옷이 정갈하다면 그대로 이용하기도 한다."

▶ 발상(發喪)

"초상(사람이 죽어 장례를 치르는 것)이 났음을 알리고 장례준비를 하는 것이다. 수시가 끝난 후 검소한 옷차림을 하고 ""근조(謹弔)"" 라고 쓴 등이나 ""상중(喪中)"",""기중(忌中)""이란 글을 대문에 붙여 상이 났음을 알린다."

▶ 부고(付告)

가까운 친척과 친지들에게 상이 났음을 알리는 것으로, 호상이 상주와 의논하여 진행하며, 사망시간 및 장소, 발인일시, 발인장소,장지, 상주와 상제 등을 알린다.

둘째날

▶ 염습(殮襲)

"고인의 시신을 잘 씻기고(염), 수의로 갈아 입힌다(습). 습(襲)이란 원래 의복을 겹쳐 입는다는 의미인데, 시신을 목욕시킨 후 수의를 입히는 절차를 말하며, '소렴'은 수의를 입힌 다음 매장포(埋葬布)로 시신을 싸서 단단히 동여매는 절차이며, '대렴'은 입관 시키는 것이다. 요즘은 사망 다음 날을 염습이라하여 습과 소렴, 대렴이 한꺼번에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 입관(入棺)

"시신을 관에 모시고, 관은 병풍으로 가려둔다. 입관 후에는 아침 저녁 끼니에 밥, 국, 적, 반찬 등의 밥상차림으로 상식을 올린다."

▶ 성복(成服)

상주들은 상복(喪服)을 입고 제물을 차리고 자손이 상주가 되었음을 고하는 성복제를 지내게 되며, 이 때부터 조문객을 받게 된다.

셋째날

▶ 발인(拔引)

"발인은 영구가 집(혹은 장례식장)을 떠나는 절차이다. 발인에 앞서 간단한 제를 올리는데 이를 발인제라 하고, 사회적 명사인 경우 영결식을 치루기도 한다."

▶ 운구(運柩)

영구를 장의차나 상여로 운반하여 정해진 장지(혹은 화장지)로 이동하는 절차이다. 매장의 경우는 바로 장지로 이동하고, 화장의 경우는 화장지로 이동하여 화장을 마친후 다시 정해진 장지로 이동한다.

▶ 하관(下棺)

관을 무덤에 넣는 것으로, 상주는 '취토(取土)'라고 세 번 외치면서 흙을 관 위에 세 번 뿌린다.

▶ 성분(成墳)

"상주의 취토가 끝나면 석회와 흙을 섞어 관을 완전히 덮고, 둥글게 쌓아올려 잔디를 입힌다. 하관후 흙을 광중에 채워 넣어 땅을 고르는 것을 평토(平土)라 하는데, 평토가 마쳐지면 평토제를 지내거나 혹은 성분을 완료한 후 성분제를 지낸다. 평토제나 성분제는 같은 의미인데, 고인을 무덤에 안장한 후 지내는 제례이다. 하관과 성분은 매장시의 절차이고, 화장시에는 이들 절차없이 화장장에서 고인의 유골을 회수하여 납골당에 봉안하거나 혹은 산골(유골을 정해진 장소에 뿌리는 장묘방법), 수목장(유골을 나무 밑에 묻어 자연에 회귀시키는 장묘방법)을 한다."

상중제례

상중제례(喪中第禮)


사람이 운명하여 장례의식을 치르고 무덤에 안치된 후 일정기간까지의 과정에서 치뤄지는 제례의식을 상중제례라 한다. 일부에서는 매장이나 화장을 하기 전까지의 제례의식을 제(祭-제사)와 구분하여 전(專)이라고 하고, 제(祭)란 매장이나 화장 이후부터 지내는 제례를 제사라고 한다는 설도 있으나, '제'와 '전'을 특별히 구분해야될 아무런 실익이 없고, 일반적으로 실무에서는 같은 제례절차로 치뤄지므로, 고인의 임종후부터 매장 이후 일정기간까지 치뤄지는 제례의식을 상중제례로 본다. 과거 상중제례로는 장례절차 중간에 치뤄지는 성복제, 발인제, 노제를 비롯하여 묘소에 도착한 이후 치뤄지는 평토제(성분제) 그리고 이후 우제(초우제, 재우제, 삼우제), 49재(불가의 제례), 졸곡, 부제, 이제, 소상, 대상, 담제, 길제 등 대단히 복잡한 제례의식이 존재했는데, 이는 3년상을 치루던 과거의 관습에서 생겨난 복잡한 제례의식으로서, 3일장을 치루고 일상으로 돌아오는 현대의 상/장례절차와 합치되기는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과거의 상중제례 절차를 현실에 맞게 수정하여 간소화할 필요성이 있는데, 권장하는 바로는 장례절차의 시작시 지내는 성복제, 운구가 장지로 행하기전 지내는 발인제, 매장(혹은 화장)절차를 마친후 지내는 평토제(성분제) 정도로 간소화해서 상중제례를 지내고, 추가적으로 불자의 경우 49재를 그리고 아직까지 꽤 많은 가정에서 지내는 삼우제 정도까지 지내는 것이 적절하다고 볼 것이다.

상중제례의 종류

성복제(成服祭)


상복(喪服)으로 갈아입고 지내는 제사라는 뜻으로, 고인의 임종후 상주들이 상복으로 갈아입고 지내는 제사이다. 상주들이 상복으로 갈아입었다는 의미는 상/장례절차가 공식적으로 시작된다는 의미이며, 결국 성복제란 장례식의 시작을 알리는 제례절차이다.

발인제(拔引祭)


장례식장에서 운구차가 장지로 출발하기 전, 장례식장에서 관 앞이나 영구차 앞에서 행하는 의식이다. 제물은 간소하게 차리고 절차 역시 약식절차로 진행한다.

평토제(平土祭)


매장지에서 무덤에 관을 묻고 흙을 덮어 평평하게 고르는 것을 평토(平土)라 하는데, 평토후 봉분을 만들기 전에 지내는 제사가 평토제이다. 봉분을 완성한 후 지내기도 한다. 즉 묘소를 완성한 후 그 자리에서 지내는 제사이다. 평토제의 절차 역시 약식절차로 진행하는데, 평토가 끝나기를 기다려 영좌(靈座)를 설치하여 신주를 모시고 그 앞에 주(酒)·과(果) ·포(脯)를 진설하여 제전(祭奠)을 드린다. 상주가 분향(焚香) ·헌작(獻酌)하고 나서 축문을 읽은 뒤 제자리로 돌아가면 상주 이하의 사람이 재배하고 곡한다.

삼우제( 三虞祭)


삼우제'란 장사를 지낸 후 세 번째 지내는 제사라는 뜻으로 죽은 이의 혼백을 평안하게 하기 위해 지내는 제사를 말하는데, 장사 당일날 지내는 제사는 '초우(初虞)', 다음날 지내는 제사를 '재우(再虞)', 그 다음날 지내는 제사를 '삼우(三虞)' 또는 '삼우제'라고 한다. 그러나 오늘날에 와서는 초우, 재우는 생략하고, 고인을 묘소에 안장한 후 3일째 되는 날에 삼우제만 지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즉 봉분을 완성하고 난 후 3일째 되는 날 다시 산소로 찾아가, 봉분이 잘 있는지 훼손되지는 않았는지를 살피고 나서 망자가 편히 쉬도록 제를 올리게 된다. 이것이 삼우제에 해당되는데, 고인 임종후 3일 동안 장례를 지내고 고인을 묘소에 안장하고(3일장) 임종후 5일째 되는 날 봉분을 찾아 제를 올린다는 의미에서 삼우제를 '삼오제'라고 부르기도 한다.

49재(49齋)


사람이 임종한 뒤 49일째에 치르는 불교식 제사의례로서, 이는 6세기경 중국에서 생겨난 의식으로 유교적인 조령숭배(祖靈崇拜) 사상과 불교의 윤회(輪廻) 사상이 절충된 것이라고 여겨진다. 불교의식에서 사람이 임종후 7일마다 불경을 외면서 재(齋)를 올려, 죽은 이가 그 동안에 불법을 깨닫고 다음 세상에서 좋은 곳에 사람으로 태어나기를 비는 제례의식이다. 그래서 칠칠재(七七齋)라고도 부르며, 이 49일간을 '중유(中有)' 또는 '중음(中陰)'이라고 하는데, 이 기간에 죽은 이가 생전의 업(業)에 따라 다음 세상에서의 인연, 즉 생(生)이 결정된다고 믿기 때문이다. 원래 불교의 '무아설(無我說)'에 따르면 개인의 생전의 행위 자체에 대한 업보(業報)는 그 사람 개인에 한정되며, 어떤 방법으로도 자녀 또는 그 후손 누구에게도 전가될 수가 없으며 전가시킬 수도 없다고 한다. 그러나 유교사상은 이 49일 동안에 죽은 이의 영혼을 위하여 그 후손들이 정성을 다하여 재를 올리면, 죽은 부모나 조상이 후예들의 공덕에 힘입어 보다 좋은 곳에 인간으로 다시 태어나게 되고, 또 그 조상의 혼령이 후손들에게 복을 주게 된다는 것이다. 불교에서도 '무아설'과는 다른 육도(六道) 사상적 해석에 따르면, 모든 중생은 육도, 즉 천상(天上)·인간(人間)·축생(畜生)·아수라(阿修羅)·아귀(餓鬼)·지옥도(地獄道) 등 여섯 세계를 윤회하고 있으므로, 죽은 가족이 이 중 이른바 삼악도(三惡道; 지옥도·아귀도·축생도)에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비는 기도 행위가 49재라는 것이다

상중제례 축문

발인축(發靷祝)


견전축(遣奠祝)이라고도 하며 상여에 영구를 모시고 발인시에 행한다.
(靈이旣駕 往卽幽宅) (載陳遣禮 永訣終天) 영이기가 왕즉유택 재진견례 영결종천

<풀이>
영혼께서 이제 상여를 타고 유택으로 가시게 되었사와, 예를 올리옵고 이승에서 마침을 고하나이다.

산신축(山神祝)


토지신축(土地神祝)이라고도 하며 평토(성분)후 토지신에 고할 때 쓴다.

성분축(成墳祝)


성분제 때 쓰는 축문이다.

우제축(虞祭祝)


초우, 재우, 삼우가 있으나 현재는 三虞만 지낸다.
친절한 고객센터 1666-5383

상호: 차림 대표: 고재효 주소: 서울시 양천구 남부순환로 390, 2층(신월동) 사업자 등록번호: 307-15-19379 사업자등록번호
전화번호: 1666-5383 (고객센터 업무마비로 인해 광고 전화는 일체 받지 않습니다.) E-mail: ko121520@naver.com 개인정보관리책임자: 고재효 (ko121520@naver.com)
통신판매업신고: 제 2019-서울양천-1337 호 Copyrightⓒ 2014 바른제사. All rights Reserved.

kb에스크로
모바일 화면보기